![긍정의 엄청 놀라운 힘 퇴근하여 집 문간에 들어설 때 두 팔을 벌리며 반기는 자녀를 보면 직장에서 쌓인 스트레스가 한 순간에 풀리는 걸 경험했을 것이다. 기분이 좋으면 사람은 이타적이 된다. 다른 사람의 부탁도 잘 들어준다. 긍정은 이처럼 사람들을 행복하게 한다. 행복하기 때문에 성공한 건지, 성공해서 행복한 건지는 여러 주장이 있지만 긍정적인 사람들이 더 행복하고 성공하는 것은 어느 정도 검증된 사실이다](http://img1.kbstar.com/img/rainbow/2011a/201103/orange_titimg.jpg)
겨울 내내 우리를 움츠리게 만들었던 매서운 강추위가 물러나고 이제는 제법 따스한 기운이 느껴지는 봄이다. 강추위와 폭설로 워낙 고생을 한 탓인지 따듯한 햇볕과 봄바람을 느끼는 것만으로도 기분이 좋다. 길가에 돋아나는 파릇파릇한 새싹을 보노라면 더욱 기분이 좋아진다.
행복의 핵심적 요소는 '기분이 좋은 것' 즉 긍정적인 정서를 느끼는 것이다. 인간이 로봇이나 컴퓨터와 다른 점은 '좋고 싫음'을 느끼는 감정을 지니는 점이다. 인간에게 행복의 문제가 중요한 이유는 유쾌한 긍정 정서를 추구하고 불쾌한 부정 정서를 회피하려는 기본적인 성향 때문이다. 행복한 삶을 위해서는 우리의 정서를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간은 지구상에서 가장 복잡하고 미묘한 정서체계를 지닌 생명체다. 인간의 다양한 정서는 유쾌-불쾌의 속성에 따라 긍정 정서와 부정 정서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유쾌한 긍정 정서는 개인의 삶에 도움이 되는 자극 상황에서 경험되는 심리적 반응인 반면, 불쾌한 부정 정서는 개체의 생존과 적응을 위협하거나 손상하는 상황에서 경험되는 것이다. 우울, 불안, 분노, 권태와 같은 부정 정서로 얼룩진 삶을 우리는 불행한 삶이라고 여긴다. 반면에 행복한 삶은 평온감, 만족감, 기쁨, 환희와 같은 긍정 정서로 이루어진 삶이라고 할 수 있다. 행복의 관건은 어떻게 우리의 긍정 정서를 증진하느냐는 것이다.
20세기의 심리학자들은 불행을 야기하는 부정 정서를 이해하기 위해서 학문적인 관심을 집중해왔다. 부정 정서를 감소시키는 것이 불행 극복에 중요하기 때문이다. 진화론적 관점에서 보면, 인간의 모든 신체기관이 나름대로의 적응적 기능을 지니고 있듯이, 인간의 정서 역시 그러하다. 부정 정서는 그 정도가 심하지 않으면 적응적인 기능을 지닌다. 예컨대, 불안은 위험과 위협 상황에서 경험하는 정서로서 주의를 집중하여 위험에 대처하게 만들어 개체의 생존과 안전을 돕는 적응적 기능을 지닌다. 분노는 부당한 공격에 대해 저항하고 반격하게 함으로써 자신을 보호하는 기능을 지니고, 우울은 좌절과 상실에 대한 심리적 반응으로서 행동을 자제하고 자기점검과 자기개선을 촉진하는 기능을 지닌다. 이러한 부정 정서는 인간이 오랜 진화과정에서 생존과 안전을 위협하는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발전시킨 심리적 적응장치라고 할 수 있다. 부정 정서는 불쾌한 것이지만 과도하지만 않다면 우리의 생존을 돕는 유익한 정서라고 할 수 있다. 우울증이나 불안장애는 부정 정서가 부적절하게 심해져서 적응적 기능을 상실하게 될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우선, 긍정 정서는 인지기능과 창의성을 증진한다. 프레드릭슨과 동료 연구자들은 세 집단의 사람들에게 각각 긍정 정서, 중립 정서, 부정 정서를 유발하는 동영상을 보여주고 나서 창의성을 요하는 과제를 하게 했다. 그 결과 긍정 정서를 경험한 집단이 창의성 과제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일반적으로 부정 정서를 경험하면 생각의 폭이 좁아지는 반면, 긍정 정서를 경험하면 생각의 폭이 유연하게 넓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구글(Google)을 위시한 여러 기업체들이 직원들의 긍정 정서를 증진함으로써 그들의 창의성을 발현시키려는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둘째, 긍정 정서는 능동적이고 이타적인 행동을 촉진한다.긍정 정서를 느끼게 되면 행동의 자발성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을 돕는 행동을 더 많이 하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여러 실험연구를 통해서 입증된 사실일 뿐만 아니라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쉽게 경험하는 것이기도 한다. 우리는 기분이 좋을 때 다른 사람의 부탁을 더 잘 들어준다. 또한 우리가 다른 사람에게 무언가를 부탁할 때 그 사람의 기분을 살피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셋째, 긍정 정서는 인간관계를 증진시킨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긍정 정서를 자주 경험하는 사람들의 인간관계가 더 원만하고 안정적이다. 예컨대, 심리학자인 하커(Harker)와 켈트너(Keltner)는 고등학교 졸업사진에 나타난 미소의 강도를 측정하고 중년이 된 그들의 부부관계를 추적한 결과, 밝은 미소를 통해 긍정 정서를 많이 나타낸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부부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차치하더라도, 우리는 밝은 미소와 명랑한 성격의 소유자를 더 좋아한다.
다섯째, 긍정 정서는 면역기능을 강화하여 신체건강을 증진할 뿐만 아니라 수명을 연장시킨다. 데보라 대너(Deborah Danner)와 동료연구자들이 수행한 수녀 연구는 이러한 사실을 잘 보여주고 있다. 대너 연구팀은 수녀원의 비슷한 조건에서 생활하는 수녀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30~40년 전에 처음 입교하면서 쓴 자서전적인 글을 분석하여 긍정 정서의 정도를 평가했다. 자서전적인 글에서 긍정 정서를 많이 표현한 수녀 집단은 그렇지 않은 수녀 집단에 비해서 평균적으로 10년 이상 더 오래 살았다. 부정 정서는 면역기능을 약화시키는 반면, 긍정 정서는 면역기능을 강화시켜 감기와 같은 전염병에 걸리지 않게 한다.
아울러 긍정 정서는 삶의 대한 의욕과 활기, 그리고 에너지 수준을 향상시킨다. 긍정 정서는 개인이 지닌 삶의 방식이 적응적이라는 점을 반영해준다. 만약 당신이 요즘 즐겁고 행복하다면, 그것은 당신의 삶의 방식이 현재의 환경에 적절하게 기능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긍정 정서는 의욕과 활기를 강화하여 삶을 추진하는 기능을 지닌다.
긍정 정서가 이처럼 다양한 적응적 기능을 지닌다는 점은 여러 실증적 연구를 통해서 밝혀지고 있다. 긍정 정서는 그 자체로 즐거운 보상적 효과를 지닐 뿐만 아니라 우리의 삶에 다양한 이득과 혜택을 제공한다. 프레드릭슨은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긍정 정서가 개인의 발전과 성장에 기여한다는 확장 및 축적 이론(broaden-and-build theory)을 제시했다. 이 이론의 핵심적 내용을 간략히 설명하면, 긍정 정서는 생각과 행동의 폭을 확장하여 개인으로 하여금 새로운 다양한 시도를 하게 만든다. 이러한 새로운 학습경험은 그 사람의 능력과 자원으로 축적되어 개인적 발전과 성장을 돕는다는 것이다.
긍정 정서는 마음을 따뜻하게 비추는 햇볕이자 마음을 살찌우는 자양분이기도 하다. 행복한 삶을 원한다면 자신에게 긍정 정서를 공급하는 노력이 중요하다. 자신이 어떤 상황에서 긍정 정서를 경험하는지 알고 있는가?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일주일 생활 중에서 어떤 요일의 어떤 시간대에 긍정 정서를 경험하는가? 어떤 장소에서 누구와 어떤 활동을 할 때 행복감을 느끼는가? 자신의 정서적 삶에 좀 더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는 동시에 자신에게 긍정 정서를 공급하는 다양한 방법을 탐구할 필요가 있다. 자신의 기분이 어떤 상황에서 긍정적으로 변하는지 잘 알고 있는가? 자신의 기분을 유쾌하게 만들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들을 지니고 있는가? 오늘도 힘들게 일한 자신에게 어떻게 긍정 정서를 공급할 것인가? 다음 달에는 긍정 정서를 증진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서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이 컬럼 내용의 "인쇄" 또는 "파일저장"을 원하시면 우측 버튼을 클릭하여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저자 권석만 자세히보기](http://img1.kbstar.com/img/rainbow/orange_profile02.gif)
![](http://img1.kbstar.com/img/rainbow/2011a/201103/orange_img_01.jpg)
20세기의 심리학자들은 불행을 야기하는 부정 정서를 이해하기 위해서 학문적인 관심을 집중해왔다. 부정 정서를 감소시키는 것이 불행 극복에 중요하기 때문이다. 진화론적 관점에서 보면, 인간의 모든 신체기관이 나름대로의 적응적 기능을 지니고 있듯이, 인간의 정서 역시 그러하다. 부정 정서는 그 정도가 심하지 않으면 적응적인 기능을 지닌다. 예컨대, 불안은 위험과 위협 상황에서 경험하는 정서로서 주의를 집중하여 위험에 대처하게 만들어 개체의 생존과 안전을 돕는 적응적 기능을 지닌다. 분노는 부당한 공격에 대해 저항하고 반격하게 함으로써 자신을 보호하는 기능을 지니고, 우울은 좌절과 상실에 대한 심리적 반응으로서 행동을 자제하고 자기점검과 자기개선을 촉진하는 기능을 지닌다. 이러한 부정 정서는 인간이 오랜 진화과정에서 생존과 안전을 위협하는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발전시킨 심리적 적응장치라고 할 수 있다. 부정 정서는 불쾌한 것이지만 과도하지만 않다면 우리의 생존을 돕는 유익한 정서라고 할 수 있다. 우울증이나 불안장애는 부정 정서가 부적절하게 심해져서 적응적 기능을 상실하게 될 경우라고 할 수 있다.
![](http://img1.kbstar.com/img/rainbow/2011a/201103/orange_img_02.jpg)
우선, 긍정 정서는 인지기능과 창의성을 증진한다. 프레드릭슨과 동료 연구자들은 세 집단의 사람들에게 각각 긍정 정서, 중립 정서, 부정 정서를 유발하는 동영상을 보여주고 나서 창의성을 요하는 과제를 하게 했다. 그 결과 긍정 정서를 경험한 집단이 창의성 과제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일반적으로 부정 정서를 경험하면 생각의 폭이 좁아지는 반면, 긍정 정서를 경험하면 생각의 폭이 유연하게 넓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구글(Google)을 위시한 여러 기업체들이 직원들의 긍정 정서를 증진함으로써 그들의 창의성을 발현시키려는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둘째, 긍정 정서는 능동적이고 이타적인 행동을 촉진한다.긍정 정서를 느끼게 되면 행동의 자발성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을 돕는 행동을 더 많이 하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여러 실험연구를 통해서 입증된 사실일 뿐만 아니라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쉽게 경험하는 것이기도 한다. 우리는 기분이 좋을 때 다른 사람의 부탁을 더 잘 들어준다. 또한 우리가 다른 사람에게 무언가를 부탁할 때 그 사람의 기분을 살피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셋째, 긍정 정서는 인간관계를 증진시킨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긍정 정서를 자주 경험하는 사람들의 인간관계가 더 원만하고 안정적이다. 예컨대, 심리학자인 하커(Harker)와 켈트너(Keltner)는 고등학교 졸업사진에 나타난 미소의 강도를 측정하고 중년이 된 그들의 부부관계를 추적한 결과, 밝은 미소를 통해 긍정 정서를 많이 나타낸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부부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차치하더라도, 우리는 밝은 미소와 명랑한 성격의 소유자를 더 좋아한다.
다섯째, 긍정 정서는 면역기능을 강화하여 신체건강을 증진할 뿐만 아니라 수명을 연장시킨다. 데보라 대너(Deborah Danner)와 동료연구자들이 수행한 수녀 연구는 이러한 사실을 잘 보여주고 있다. 대너 연구팀은 수녀원의 비슷한 조건에서 생활하는 수녀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30~40년 전에 처음 입교하면서 쓴 자서전적인 글을 분석하여 긍정 정서의 정도를 평가했다. 자서전적인 글에서 긍정 정서를 많이 표현한 수녀 집단은 그렇지 않은 수녀 집단에 비해서 평균적으로 10년 이상 더 오래 살았다. 부정 정서는 면역기능을 약화시키는 반면, 긍정 정서는 면역기능을 강화시켜 감기와 같은 전염병에 걸리지 않게 한다.
아울러 긍정 정서는 삶의 대한 의욕과 활기, 그리고 에너지 수준을 향상시킨다. 긍정 정서는 개인이 지닌 삶의 방식이 적응적이라는 점을 반영해준다. 만약 당신이 요즘 즐겁고 행복하다면, 그것은 당신의 삶의 방식이 현재의 환경에 적절하게 기능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긍정 정서는 의욕과 활기를 강화하여 삶을 추진하는 기능을 지닌다.
긍정 정서가 이처럼 다양한 적응적 기능을 지닌다는 점은 여러 실증적 연구를 통해서 밝혀지고 있다. 긍정 정서는 그 자체로 즐거운 보상적 효과를 지닐 뿐만 아니라 우리의 삶에 다양한 이득과 혜택을 제공한다. 프레드릭슨은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긍정 정서가 개인의 발전과 성장에 기여한다는 확장 및 축적 이론(broaden-and-build theory)을 제시했다. 이 이론의 핵심적 내용을 간략히 설명하면, 긍정 정서는 생각과 행동의 폭을 확장하여 개인으로 하여금 새로운 다양한 시도를 하게 만든다. 이러한 새로운 학습경험은 그 사람의 능력과 자원으로 축적되어 개인적 발전과 성장을 돕는다는 것이다.
긍정 정서는 마음을 따뜻하게 비추는 햇볕이자 마음을 살찌우는 자양분이기도 하다. 행복한 삶을 원한다면 자신에게 긍정 정서를 공급하는 노력이 중요하다. 자신이 어떤 상황에서 긍정 정서를 경험하는지 알고 있는가?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일주일 생활 중에서 어떤 요일의 어떤 시간대에 긍정 정서를 경험하는가? 어떤 장소에서 누구와 어떤 활동을 할 때 행복감을 느끼는가? 자신의 정서적 삶에 좀 더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는 동시에 자신에게 긍정 정서를 공급하는 다양한 방법을 탐구할 필요가 있다. 자신의 기분이 어떤 상황에서 긍정적으로 변하는지 잘 알고 있는가? 자신의 기분을 유쾌하게 만들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들을 지니고 있는가? 오늘도 힘들게 일한 자신에게 어떻게 긍정 정서를 공급할 것인가? 다음 달에는 긍정 정서를 증진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서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http://img1.kbstar.com/img/rainbow/icon_print.gif)
![저자 권석만 자세히보기](http://img1.kbstar.com/img/rainbow/orange_profile02.gif)
출처 : 50-70대의사랑과 추억
글쓴이 : grace 원글보기
메모 :
'그룹명 > 좋은 글 중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드라마틱한 성공 (0) | 2012.07.28 |
---|---|
[스크랩] 쓰임의 미학 (0) | 2012.07.28 |
[스크랩] 좋은 책을 고르는 10가지 방법 (0) | 2012.07.28 |
[스크랩] 그 청년 바보의사 장기려 (0) | 2012.07.28 |
[스크랩] 파란만장한 한 남자 오 헨리의 삶 (0) | 2012.07.28 |